본문 바로가기
역사의 하루

한국 민주화의 중요한 발판이 된 6·3 항쟁 : 6월 3일

by infomix 2024. 6. 3.

6월 3일에 어떤 일들이 있었을까요?

 

1. 1964년 - 박정희 정권의 한일협상에 반대하여 일으킨 대규모 학생운동으로 6·3 항쟁 또는 6·3 시위, 한일협상 반대 운동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정권은 한일협상 반대 시위를 무력으로 진압하였고 6월 3일 저녁 10시에 계엄을 선포하였으며 7월 29일 해지되었습니다.

2. 2017년 - 영국 런던에서 밤 10시경 흰색 밴 한 대가 런던 브리지 도로를 가로질러 보행자를 치었고 그 후 밴은 보로 마켓으로 향한 뒤 밴에서 3명이 내려 이 지역에 있던 사람들을 찌르는 테러가 발생했습니다. 이번 사건으로 경찰에게 사살된 범인 3명을 포함해 시민 6명이 사망했으며 많은 희생자가 나와 국제적으로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6·3 항쟁 (자료 : https://www.dogdrip.net/50870501)

 

6·3 항쟁 : 한일 협상 반대 운동 (1964년)

사건개요

- 1960년대 초, 박정희 정부는 경제 발전을 위해 미국과의 관계를 강화하고자 한일 국교 정상화를 비밀리에 추진했습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일본의 과거 식민 지배에 대한 충분한 사과와 배상이 이루어지지 않아 국민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습니다.

- 1964년 2월 22일, 민정당은 한일 교섭에 대한 대안을 발표하며 정부의 방침에 반대하였지만 박정희 정권은 3억 달러의 청구권 보상으로 만족하고 '평화선'을 일본에 넘기기로 결정해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 3월 5일 정부와 여당은 한일 협상 스케줄을 발표했고, 재야 세력은 6일 '대일굴욕외교반대 범국민 투쟁위원회'를 결성했습니다. 9일에는 서울 종로예식장에서 각계 인사들이 구국선언을 채택하고 반대투쟁을 다짐했으며 서울대학교 문리대생들은 5월 30일 단식농성에 들어갔고 6.3 항쟁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 6월 3일 서울 시내에서 1만 2000명의 대학생들과 고등학생들이 거리 시위를 하였고 중앙청 앞에서 시민과 학생, 경찰과의 유혈 충돌이 벌어져 큰 혼란에 빠졌습니다. 서울대 학생들 뿐만 아니라 고려대학교 총학생회장 직무대행 김재하를 중심으로 서울 18개 대학의 학생들이 시위에 참여했습니다.

- 박정희 정권은 6월 3일 밤 비상계엄령을 선포하며 시위를 무력으로 진압하며 강경 대응을 하였으며 계엄령 이후 대학은 휴교하였고 언론 탄압이 시작되었습니다. 이때 1,120명이 검거되었고, 이명박, 손학규, 김덕룡 등 348명이 내란 및 소요죄로 복역했습니다.

- 박정희는 방송 담화를 통해 시위를 야당 정치인들의 선동으로 규정하며 학생들에게 학교로 돌아갈 것을 촉구했습니다. 윤보선은 이를 반박하며 박정희의 정치철학 부재를 비난했습니다.

- 6월 6일 무장 군인들이 동아일보사에 침입하여 위협하는 사건이 발생하였고 그 후 언론 탄압이 계속되었습니다.

- 7월 28일 시위는 무력으로 진압되었으며 29일 계엄령이 해제되었습니다.

 

6·3 항쟁 (자료 : https://www.dogdrip.net/50870501)

 

결과와 영향

- 6·3 항쟁은 즉각적인 정책 변화를 가져오진 않았지만 박정희 정부의 강압적인 통치에 대한 국민들의 저항을 보여준 중요한 사건이었습니다. 이 항쟁으로 학생들과 시민들은 정치적인 각성을 하였으며 직접적인 민주화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끼고 이후의 민주화 운동에 상당한 역할을 하게 되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 되었습니다.